본문 바로가기

리뷰

메타버스와 활용사례 정리

메타버스와 활용사례 정리

 메타버스(Metaverse)는 가상, 초월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현실세계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3차원 가상세계를 의미합니다. 메타버스에는 가상세계 이용자가 만들어낸 UGC(User Generated Content)가 상품으로써, 가상통화를 매개로 유동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미국 벤처기업 린든랩이 만든 세컨드 라이프의 인기가 증가하며 메타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코로나 19로 인해 비대면 문화가 본격화되며 메타버스는 더욱 활성화되고 있습니다.

 

 이를 증명하듯 네이버의 자회사 제트에서 만든 SNS 플랫폼 '제페토(ZEPETO)'가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특히 요즘 10대에게 가장 핫 한 플랫폼 중 하나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이는 예전 싸이월드의 감성을 느낄 수도 있는데요. 출시 2개월 만에 글로벌 다운로드 수 300만을 기록하고, 미국, 일본, 한국을 비롯한 전 세계 35개국에서 무료 다운로드 순위 1위를 기록했다고 하니 엄청난 인기죠? 제페토의 인기가 많아지며 유명인이나 기업들 또한 홍보를 위해 제페토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코로나로 인해 대학교의 환경과 문화가 변화하면서 대학교에서도 메타버스의 활용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2020년 국내의 한 대학교는 신입생 입학식을 가상 세계에게서 진행했습니다. 국내 대기업의 플랫폼을 통해 마련된 가상공간에서 학생들은 각자 자신의 아바타를 만들고, 학과 점퍼를 입고 참석했습니다. 학과별 프로그램을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국내의 다른 대학교는 축제를 가상세계에서 열었습니다. 교내 공간을 가상세계에 모두 재현하여 학생들이 자유롭게 만나며 축제를 즐겼습니다.

 

 관광업계에도 여행과 메타버스를 결합하는 움직임이 활발합니다. 한국관광공사는 제페토에 한강공원을 구축하여 하루 만에 전 세계에서 25만 7000명이 방문했습니다. 또한 관광 데이터 기업 트래볼루션은 석촌호수와 롯데월드맵을 공개했습니다. 실제 석촌호수와 롯데월드를 그대로 재연해놓은 가상공간을 여행하며 맵 곳곳에 숨겨진 할인쿠폰을 찾는 재미와 함께 오프라인 여행 시 할인 혜택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패션업계에도 메타버스를 활용한 기술을 도입하고 있는데요. 유명 명품 브랜드인 구찌는 제페토에 이탈리아 피렌체를 배경으로 한 구찌 빌라에서 직접 상품을 둘러보고 구매할 수 있는 공간을 제작했습니다. 구찌 빌라에 방문하면 아바타를 통해 구찌 의상을 입어보고 포토존에서 사진을 촬영할 수도 있습니다.